본문 바로가기

생각하며 살아가기682

2017년도 적용 SW기술자 평균임금 공표 원본 글 위치https://www.sw.or.kr/biz/b_nos_view.jsp?articleNo=38264&page=1&pageSize=10 구 분 인원 평균임금(M/D) 평균임금(M/M) 평균임금(M/H) 2016년 2017년 기술사 348 437,227 452,611 9,414,309 56,576 특급기술자 17,531 381,502 391,068 8,134,214 48,884 고급기술자 10,302 284,440 305,353 6,351,342 38,169 중급기술자 10,533 226,537 239,506 4,981,725 29,938 초급기술자 13,939 190,790 191,320 3,979,456 23,915 고급기능사 90 187,093 191,177 3,976,482 23,897 .. 2017. 9. 1.
통계로 보는 영화이야기 영화 역대 관람 관객수를 살펴보니... 다음과 같다. 예상했던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고 하다.내가 진짜 영화광인지 판단할 수 있는 문제로 활용해도 좋을 듯 싶습니다. 자료는 영화 진흥원에서 가지고 온자료를 간단히 분석한 것이니 참고 바래요~ 500만 이상 관람한 영화 수는? 81편명량, 국제시장, 베테랑, 아바타, 도둑들, 7번방의 선물, 암살, 광해, 왕이 된 남자, 부산행, 변호인, 해운대, 괴물, 택시운전사, 왕의 남자,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인터스텔라, 겨울왕국, 검사외전, 설국열차, 관상, 아이언맨 3,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해적: 바다로 간 산적, 수상한 그녀, 과속스캔들, 국가대표, 디워, 공조, 트랜스포머 3, 히말라야, 미션임파서블:고스트프로토콜, 밀정, 최종병기.. 2017. 8. 23.
프론트 엔드 VS 백엔드 구분하기 얼마 전 지인이 이런 문의를 해왔다. '나는 프론트 엔드와 백엔드를 구분을 못하겠다. 그리고 구지 나눌이유가 뭔지 모르겠다.' 사실 말로 설명해서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고 넘어가긴 했지만, 다시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프론트 엔드(Front End) VS 백엔드(Back End) 시스템은 화면을 웹페이지로 표시하는데 이때 사용자 내지는 클라이언트가 화면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개인의 활용을 목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브라우져, 핸드폰, PC, OS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을 프론트 엔드로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메일 서비스 포털에서 메일을 확인하고 발송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은 프론트 엔드로 볼.. 2017. 7. 14.
DMBOK 2.0 정리 Data 부분에서도 지식체계가 존재한다. 유사한 예로는 BABOK, PMBOK, SWEBOK 등등등이 있다.Data 부분의 지식체계 이름은 DMBOK(Data management body of Knowledeg)이다.(참고로 아래 슬라이드 쉐어에는 Book이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잘못된 표현이다.) 시스템의 구성은 대충 이러하다.교육을 받아보면 어떤 영역에 접근이 필요한지 고민해봐야 할것이다.참고로 어떤 곳은 기초지식도 없는 상황에서 데이터 보안, 품질, 모델링에 대한 고민을 하는 뒤집힌 접근을 하는 곳도 눈에 보인다. 지식체계 대부분이 방법론과 유사한 체계를 갖는다.phase, segment or activity, task로 구분된다. 아래 DMBOK도 마찬가지로 Activity가 식별되어 있다. 참고로.. 2017. 6. 2.
광고 송출 시스템의 이해 프로그래매틱 광고란?몇 년 전부터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 ‘핫’하게 떠오르고 있는 분야가 있습니다. 바로 프로그래매틱 광고(Programmatic Advertising)인데요, 2013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해 현재 미국에서는 온라인 광고 시장의 가장 큰 축이기도 합니다. 프로그래매틱 광고란 간단히 말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디지털 광고를 구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으로 온라인 광고 구입 과정에는 사람이 관여했었는데, 이것을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등의 기술로 대체하는 것입니다. http://www.itworld.co.kr/news/101787 Korean mobile advertising buzz scape 2016년https://www.buzzvil.com/2016/02/18/korean-mobil.. 2017. 5. 22.
베이비페어에서 아기사진 선택 신중하세요~ 베이비페어에서 아기사진 선택 신중하세요~! 초보아빠와 엄마는 이런 저런 정보에 민감합니다. 왜냐하면 소중한 우리아이와 연관된 내용이기 때문이죠. 그런 이유에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을 찾아갑니다. 그중에 가장 유명한 내용이 바로 베이비페어, 육아박람회 등이겠지요. 가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베이비페어 한번하면 엄청난 업체와 사람들이 좋은 제품과 정보를 위해 몰려듭니다.단적으로 제가 갔을 때에는 5초에 한번씩 사람들과 어깨를 부딪쳤습니다.;;; 어찌나 많은 사람들이 와 있는지~ 정신이 다 없더군요. 물건 파는 사람, 홍보하는 사람, 구경하는 사람, 이벤트 진행하는 사람, 제품 시연하는 사람, 상담하는 사람, 결제하는 사람, 아기, 어른, 할머니, 할아버지.... 엄청납니다. 그런 그곳에서 조금 어색.. 2017. 5. 16.
싸이 신곡 뮤직비디오(New Face, I LUV IT) New Face 어딜 쳐다보는 거냐고솔직히 너 그래 너 생판 처음 만난 너왜 널 쳐다보는 거냐고궁금해서 설레서 낯설어서uh 두근 두근 두근 워 침착하게 서로서로 살살 알아볼까나오빠 차 핸들 살살 돌려볼까나모르는게 약이야객관식은 첫 눈에 찍는게 답이야뜨거운 fyah 너의 맘 나의 맘 두근 두근 두근 워 사람 새로운 사람너무 설레어서 어지러워요만남 새로운 만남너무 설레어서 미치겠어요 낯선 낯선 여자의 낯선 향기에Yes I want some new face낯선 낯선 여자의 낯선 향기에Yes I want some new face New face new face new new new faceNew face new face new new new face 원래 이런 사람이냐고아니올시다 이거 봐봐눈을 맞춰야 눈이 맞아.. 2017. 5. 13.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론(TRIZ)이란?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론(TRIZ)이란? 러시아에서 시작한 문제해결방법으로 기술 및 경영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해당 분야 내에서 최적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과는 달리 40가지의 발명원리와 다른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검증된 기법을 해당 분야에 적용하는 기법입니다. Teoriya(째오리아) = Theory = 이론Resheniya(레셰니아) = Solving = 해결Izobretatelskih(이조브레따쩰스키흐) = Invention = 발명Zadach(자다취) = Problem = 문제 "주어진 문제의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얻어내는데 관건이 되는 모순을 찾아내고, 이를 극복함으로써 혁신적 해결안을 얻을 수 있는 방법론” 자세한 내용은 아래 PDF를 참고해보길 바란다.TRIZ 방법론 Writ.. 2017. 5. 2.
NDC 2017 슬라이드 쉐어 모음 NDC는 게임에 대한 이런 저런 흥미로운 내용들을 다룬다. 어뷰징을 막아야 한다. 자기관리가 필요하다. 이런걸 뭘까? 삽질 예방 등등등이 주된 내용인듯 하다. 몇년간 자료를 쭉 살펴보니~ 재미난 내용도 많지만... 반대로 별로 인 내용도 있다.그리고 어김없이 등장하는 '4차산업혁명', 우리는 이것에 대한 실체를 알기나 하는 것일까?하지만 새로운 자료란 늘 기쁨을 주는 것~ 읽어봄에 따라 Brain Show가 되는 것에 참으로 만족한다. 아래 수집된 NDC 2017 자료를 보시고~ 즐거움을 느끼시길~ Let's Enjoy! 어쩌다 신입 - 초보 게임 개발자 2년 간의 포스트모템-손채원 ndc 2017 어쩌다 신입 - 초보 게임 개발자 2년 간의 포스트모템 from Chaeone Son 원격근무 개발자의 자.. 2017. 4. 28.
[아빠육아] 아빠, 아이에게 이렇게 말하라. 아빠, 아이에게 이렇게 말하라. 실패했을 때, "잘됐어. 덕분에 좋은 경험을 했으니까."풀 죽었을 때, "괜찮아. 아빠도 모든게 싫어질 때가 있어."스트레스 받을 때, "너에게 맞는 계획을 세워보는게 어떨까?"욕심이 너무 많은 아이에게, "그 정도도 충분히 잘했어. 열심히 했으니까."아이가 숙제를 완벽하게 못 했을 때, "여긴 잘 알아냈구나!"아이가 다른 집과 비교할 때, "그게 우리 집 규칙이니까."아들을 칭찬할 때, "아빠도 너한텐 못 당하겠다."딸을 칭찬할 때, "열심히 한 보람이 있네?"아이에게 도전을 격려할 때, "해볼까? 자~ 가자!" ※ '엄마들은 절대 따라할 수 없는 아빠의 말' 중에 출처: 킹콩인러브 블로그WWW.KINGKONGINLOVE..COM 2017.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