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에 포스팅을 많이하는 GS인증에 관련해 나라별 인증 제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얼마전에 산업현장에 쓰이는 모든 인증을 KC로 묶어서 통합 관리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GS인증은 별도로 관리되고 있다. 물론 다른 일부 인증들도 마찬가지다.
나라별 인증제도는 아래와 같다.
1 AAR(미국철도협회)
2 ABS(미국선급협회)
3 ACMI AP(미국창작재료협회)
4 ADR(호주 자동차 안정 및 배기량 규격)
5 AEM(장비 제조 및 서비스에 관한 국제무역협회 인증)
6 AENOR(스페인규격협회)
7 AGA(미국가스협회)
8 ALE 1.0(RFID 제품 인증 )
9 ANSI(미국규격협회)
10 ANSI/BHMA(미국 건축 제품 인증)
11 ANSI/BIFMA(미주 사무 및 가구 제품 인증 )
12 ANVISA(브라질 식품의약품 인증)
13 API(미국석유학회)
14 ARTC(대만자동차 및 부품인증)
15 AS(호주규격협회)
16 ASME(미국기계학회)
17 ASTM(미국시험재료협회)
18 A-Tick(호주전자파적합성규격)
19 ATP(부패성 음식의 수송 적합 승인)
20 BABT(영국통신기기승인)
21 BBA(영국건자재인증)
22 BIS(인도제품인증 )
23 Bluetooth(블루투스제품인증)
24 BQB(블루투스 제품간 호환성 확보 목적의 인증)
25 BSI(영국표준협회)
26 BSMI(표준검험국)
27 BV(프랑스선급협회)
28 CCC(중국필수인증)
29 CCS(중국선급인증)
30 CE(유럽공동체마크)
31 CEBEC(벨기에전기기기시험소)
32 CNS(대만국가표준)
33 COFETEL(멕시코통신인증)
34 COSPAS-SARSAT(조난경보기 또는 위치 정보 제품 인증)
35 CPRI(인도전기전력인증)
36 CQC(중국 제품안전 자율인증)
37 CSA(캐나다표준규격)
38 CSEL(중국 보일러 및 압력용기 인증)
39 CSQL(중국안전품질승인)
40 CTI(미국냉각탑협회, 미국 열성능)
41 C-Tick(호주전자파적합성규격)
42 DEMKO(덴마크전기기기검사협회)
43 DIN(독일규격협회)
44 DLMS-COSEM(계량장비 프로토콜의 시험인증)
45 DNV(노르웨이선급협회)
46 DOT(미국운수성)
47 Eco-Labeling(EU 환경마크)
48 e-Mark(유럽연합차량용부품안전인증마크)
49 EPA(미국환경보호국인증)
50 FCC(미국연방통신위원회)
51 FDA(미국식품의약품국)
52 FIMKO(핀란드전기기기검사협회)
53 FMVSS(미연방자동차안전기준)
54 GL(독일선급협회)
55 GOST(러시아표준규격)
56 GS(독일품질안전)
57 GTT(프랑스 GTT 선급)
58 HC(캐나다의료기기인증)
59 HDMI(PC와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
60 IAPMO(미국배관자재 환경인증)
61 IC(캐나다산업성)
62 IECEE(IEC안전규격상호인증)-CB
63 IECEx(국제방폭상호인증)
64 IMQ(이탈리아전기기술협회)
65 IRAM(아르헨티나전기안전협회)
66 JATE(일본전기통신단말기기승인원)
67 JIS(일본표준규격)
68 JSA(일본 유기제품 인증)
69 KEMA(네덜란드전기시험소)
70 KOSHER(유대교식품적법인증)
71 KUCAS(쿠웨이트 제품적합인증)
72 LFGB(독일식품용품법)
73 LGA(독일 바이에른 공업시험청)
74 LPCB(보안 및 화재예방 인증)
75 LR(영국선급협회)
76 MOH(중국보건부인증)
77 NAL(중국통신인증)
78 NCHRP(미국 고속도로관련 시설물 연구 프로그램)
79 NEMKO(노르웨이전기기기협회)
80 NIJ(미국 고속도로관련 시설물 연구 프로그램)
81 NIOSH(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
82 NK(일본선급협회)
83 NOM(멕시코 제품안전규격)
84 NOP(유기제품 인증)
85 NPC(미국위생도기규격)
86 NRTL(미국국가인정시험소)
87 OE(유기농 목화 섬유에 대한 인증)
88 Oeko-tex(유럽섬유환경인증)
89 OFTA(홍콩이동통신인증)
90 OIML(국제법정계량기구)
91 PSB(싱가폴생산성표준원)
92 PSE(일본전기용품형식승인)
93 REACH(유럽의 신화학물질관리제도)
94 RINA(이탈리아선급협회)
95 RoHS(유럽전기전자장비유해물질사용제한)
96 RS(러시아선급협회)
97 RTN(러시아 연방 유해산업시설 인증 )
98 Russia Hygienic Conclusion(러시아위생증명)
99 SAI GLOBAL (호주품질보증협회: QAS)
100 SASO(사우디아라비아표준화기구)
101 SEMI(유럽 반도체장비 인증)
102 SEMKO(스웨덴전기기기협회)
103 SFDA(중국국가식약품감독관리국)
104 SINCERT(고압 전기제품 및 부품 인증)
105 S-mark(일본전기용품시험소)
106 Solar Keymark(유럽 태양열 제품 적합성 인증)
107 SP(스웨덴 국립시험연구협회)
108 SRRC
109 TC(캐나다 위험물질 운송 인증 )
110 TELEC(일본무선통신관련 인증)
111 TGA(호주 의약품 규제 기관)
112 Toxproof(환경유해물질 안전마크)
113 TUV(독일기술관리협회)
114 UPC(미국 배관 및 기계인증)
115 USCG(미국해양안전관련 규제)
116 VCCI(일본전자파장애자유규격협의회)
117 VDE(독일전기기술자협회)
118 Water Mark(호주 배관제품인증)
119 WPS(선급용접절차승인)
120 WRAS(영국 수질협회인증)
121 3-A(미국 낙농 및 시품가공기기 인증)
122 중국수입첨가제 등록
이 인증 제도가 회사적인 수출 차원에서는 아주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드웨어에서 부터 소프트웨어, 그리고 우리 실생활에 관련된 부분은 국외에서는 모두 인증제도를 토입하여 관리하고 있다.
국내는 그럼 어떠한가?
잘 돌아보자~ 인증이 있다고 하더라도... 지역별 인증, 말뿐인 협회 인증... 뭐 이런 식이니...
어서 우리나라도 국가 브랜드를 높일 만한 인증제도가 나와야 할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얼마전에 산업현장에 쓰이는 모든 인증을 KC로 묶어서 통합 관리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GS인증은 별도로 관리되고 있다. 물론 다른 일부 인증들도 마찬가지다.
나라별 인증제도는 아래와 같다.
1 AAR(미국철도협회)
2 ABS(미국선급협회)
3 ACMI AP(미국창작재료협회)
4 ADR(호주 자동차 안정 및 배기량 규격)
5 AEM(장비 제조 및 서비스에 관한 국제무역협회 인증)
6 AENOR(스페인규격협회)
7 AGA(미국가스협회)
8 ALE 1.0(RFID 제품 인증 )
9 ANSI(미국규격협회)
10 ANSI/BHMA(미국 건축 제품 인증)
11 ANSI/BIFMA(미주 사무 및 가구 제품 인증 )
12 ANVISA(브라질 식품의약품 인증)
13 API(미국석유학회)
14 ARTC(대만자동차 및 부품인증)
15 AS(호주규격협회)
16 ASME(미국기계학회)
17 ASTM(미국시험재료협회)
18 A-Tick(호주전자파적합성규격)
19 ATP(부패성 음식의 수송 적합 승인)
20 BABT(영국통신기기승인)
21 BBA(영국건자재인증)
22 BIS(인도제품인증 )
23 Bluetooth(블루투스제품인증)
24 BQB(블루투스 제품간 호환성 확보 목적의 인증)
25 BSI(영국표준협회)
26 BSMI(표준검험국)
27 BV(프랑스선급협회)
28 CCC(중국필수인증)
29 CCS(중국선급인증)
30 CE(유럽공동체마크)
31 CEBEC(벨기에전기기기시험소)
32 CNS(대만국가표준)
33 COFETEL(멕시코통신인증)
34 COSPAS-SARSAT(조난경보기 또는 위치 정보 제품 인증)
35 CPRI(인도전기전력인증)
36 CQC(중국 제품안전 자율인증)
37 CSA(캐나다표준규격)
38 CSEL(중국 보일러 및 압력용기 인증)
39 CSQL(중국안전품질승인)
40 CTI(미국냉각탑협회, 미국 열성능)
41 C-Tick(호주전자파적합성규격)
42 DEMKO(덴마크전기기기검사협회)
43 DIN(독일규격협회)
44 DLMS-COSEM(계량장비 프로토콜의 시험인증)
45 DNV(노르웨이선급협회)
46 DOT(미국운수성)
47 Eco-Labeling(EU 환경마크)
48 e-Mark(유럽연합차량용부품안전인증마크)
49 EPA(미국환경보호국인증)
50 FCC(미국연방통신위원회)
51 FDA(미국식품의약품국)
52 FIMKO(핀란드전기기기검사협회)
53 FMVSS(미연방자동차안전기준)
54 GL(독일선급협회)
55 GOST(러시아표준규격)
56 GS(독일품질안전)
57 GTT(프랑스 GTT 선급)
58 HC(캐나다의료기기인증)
59 HDMI(PC와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
60 IAPMO(미국배관자재 환경인증)
61 IC(캐나다산업성)
62 IECEE(IEC안전규격상호인증)-CB
63 IECEx(국제방폭상호인증)
64 IMQ(이탈리아전기기술협회)
65 IRAM(아르헨티나전기안전협회)
66 JATE(일본전기통신단말기기승인원)
67 JIS(일본표준규격)
68 JSA(일본 유기제품 인증)
69 KEMA(네덜란드전기시험소)
70 KOSHER(유대교식품적법인증)
71 KUCAS(쿠웨이트 제품적합인증)
72 LFGB(독일식품용품법)
73 LGA(독일 바이에른 공업시험청)
74 LPCB(보안 및 화재예방 인증)
75 LR(영국선급협회)
76 MOH(중국보건부인증)
77 NAL(중국통신인증)
78 NCHRP(미국 고속도로관련 시설물 연구 프로그램)
79 NEMKO(노르웨이전기기기협회)
80 NIJ(미국 고속도로관련 시설물 연구 프로그램)
81 NIOSH(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
82 NK(일본선급협회)
83 NOM(멕시코 제품안전규격)
84 NOP(유기제품 인증)
85 NPC(미국위생도기규격)
86 NRTL(미국국가인정시험소)
87 OE(유기농 목화 섬유에 대한 인증)
88 Oeko-tex(유럽섬유환경인증)
89 OFTA(홍콩이동통신인증)
90 OIML(국제법정계량기구)
91 PSB(싱가폴생산성표준원)
92 PSE(일본전기용품형식승인)
93 REACH(유럽의 신화학물질관리제도)
94 RINA(이탈리아선급협회)
95 RoHS(유럽전기전자장비유해물질사용제한)
96 RS(러시아선급협회)
97 RTN(러시아 연방 유해산업시설 인증 )
98 Russia Hygienic Conclusion(러시아위생증명)
99 SAI GLOBAL (호주품질보증협회: QAS)
100 SASO(사우디아라비아표준화기구)
101 SEMI(유럽 반도체장비 인증)
102 SEMKO(스웨덴전기기기협회)
103 SFDA(중국국가식약품감독관리국)
104 SINCERT(고압 전기제품 및 부품 인증)
105 S-mark(일본전기용품시험소)
106 Solar Keymark(유럽 태양열 제품 적합성 인증)
107 SP(스웨덴 국립시험연구협회)
108 SRRC
109 TC(캐나다 위험물질 운송 인증 )
110 TELEC(일본무선통신관련 인증)
111 TGA(호주 의약품 규제 기관)
112 Toxproof(환경유해물질 안전마크)
113 TUV(독일기술관리협회)
114 UPC(미국 배관 및 기계인증)
115 USCG(미국해양안전관련 규제)
116 VCCI(일본전자파장애자유규격협의회)
117 VDE(독일전기기술자협회)
118 Water Mark(호주 배관제품인증)
119 WPS(선급용접절차승인)
120 WRAS(영국 수질협회인증)
121 3-A(미국 낙농 및 시품가공기기 인증)
122 중국수입첨가제 등록
이 인증 제도가 회사적인 수출 차원에서는 아주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드웨어에서 부터 소프트웨어, 그리고 우리 실생활에 관련된 부분은 국외에서는 모두 인증제도를 토입하여 관리하고 있다.
국내는 그럼 어떠한가?
잘 돌아보자~ 인증이 있다고 하더라도... 지역별 인증, 말뿐인 협회 인증... 뭐 이런 식이니...
어서 우리나라도 국가 브랜드를 높일 만한 인증제도가 나와야 할것이다.
반응형
'In M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화 인지의 차이 (0) | 2009.09.09 |
---|---|
컨설턴트는 컨설턴트 답게 행동하라. (0) | 2009.08.17 |
역대 바이러스 Top 5 (0) | 2009.05.26 |
워크넷에서 제공하는 직업 심리 검사 (0) | 2008.12.30 |
2008년 10월의 낙산 해수욕장 (0) | 2008.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