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성이 없다... 그렇다면 개선도 없다.
지난 15년간 테스터 내지는 QA 엔지니어, PMO, PM 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참 많은 것을 느꼈다. 하지만,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기에... 동일한 실수와 동일한 상황에서 똑같은 오류를 만들어낸다.다양한 조직을 다녀보았다. SI, 보안, 모바일, 게임, 패키지, 시스템, 솔루션 개발사들... 도메인도 마찬가지다. 광고, 영상, 임베디드, 웹 프로젝트들도 그랬고... 다양한 조직형태도 있었다. 기획팀 밑에, QA 분사조직, 대표 직속, 연구소 소속, 개발팀 소속, 외주, 파견 등등. 그 조직 중에 QA에 대한 인식이 높은 곳은 한두곳 뿐이다. 그러면서 나에게는 노하우가 쌓였다. 나름 어디가서 한마디도 지지 않을 자신감 같은 것도 생겼지만... 구한말, 갑오경장, 갑오개혁을 겪어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품질..
2019. 1. 2.
PMP란?
PMP(Project Management Professal)의 약자로, 말 그대로,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 인증 시험이다. 국내에는 예전부터 부여되어, 각 교육 기관이나 번역된 책자들이 많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조금이라도 연관이 있다면, 한번쯤은 생각해봐야 할 자격 시험이다. 혹자는 이 자격을 두고 이런 이야기를 한다. "소프트웨어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미국에서는 운전면허증과 같은 자격이다." 히딩크식 경영 방법론을 재빠르게 도입한 우리나라 경영진들은... 한 사람에게 멀티 포지션을 두어, 그 인력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대표적인 기업이라고 하면, 아마도 삼성이 아닐까 싶다. 필자는 QA를 하는 입장으로, 항상 DEV, PMO, QAO의 대립을 목격하곤 한다. 그럴 때마다 중재자라는 사..
2009.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