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Develop/DB 스터디

정보시스템 성능관리 - 용어정리

by 코드네임피터 2017. 4. 17.
반응형

QA나 테스트를 하다보면, 꼭 문제를 일으키는 곳은 정해져있다.

하지만, 시스템에서 어떤 문제가 어떻게 발생하고 어떻게 해결하기 까지에 긴 시간을 소요한다.

기본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진행을 위해 최소한의 용어정리를 포스팅해본다.



  1. 오버플로우(Overflow): 산술 연산 결과의 오버플로 때문에 생기는 오류. 이 오류 상태는 플래그 레지스터의 오버플로 플래그에 의해 표시된다.
  2. 충돌(Collision): 근거리 통신망에서 하나의 장치로부터 자료가 전송되고 있는 도중에 다른 장치에 의하여 자료가 전송되어 통신 매체상에서 상호 간의 신호가 충돌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3. 워크로드(Workload): 주어진 기간에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어야 할 작업의 할당량을 의미한다.
  4. 쓰레드(Thread): 현재 작동 중인 한 태스크(작업)에서 작동할 수 있는 프로세스 또는 태스크보다 더 작은 하나의 작업 단위를 말하는 것으로 작은 서브 모듈을 말한다.
  5. 게이트웨이(Gateway):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연결해 주는 장치를 말한다.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유형의 네트워크들을 이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거쳐 호출이 행해지는데,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보내지는 메시지나 포맷들은 모든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항상 같은 것은 아니므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연결해 주는 게이트웨이가 필요한 것이다.
  6. 스왑(Swap): 윈도우 내에서 가상 기억 장치를 구현할 때 사용되는 파일. 보조 기억 장치에 만들어져 있으며, 현재 사용되지 않는 파일을 보관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마치 주 기억 장치 일부분인 것처럼 사용된다.
  7. 데이터베이스(Database): 데이터베이스는 잘 정리된, 상호연관이 있는 데이터의 집합이며 자료철이다. 어느 특정조직의 응용시스템들을 공동으로 사용하거나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에게 유료로 정보·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매체에 저장해 둔 데이터의 집합을 말한다.
  8.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인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어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리, 보관하기 위한 기본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수행과정인 데이터의' 추가', '변경', '삭제', '검색' 등의 기능을 집대성한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며,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관리해야 하는 기관이나 기업의 정보시스템 구축에 필요불가결한 소프트웨어로 주로 계층형과 네트워크형, 그리고 관계형(relational) DBMS가 존재한다.
  9.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BMS는 열과 행으로 된 2차원의 표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을 말한다. RDBMS는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형(relational database model)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에 보급된 UNIX나 PC를 플랫폼으로 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대부분은 RDBMS이며, 기업 내 정보시스템과 같이 데이터양이 많고 높은 신뢰성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10. 조정(튜닝): 튜닝은 조정이라는 뜻으로 컴퓨터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련의 개선 작업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성능의 척도는 실행 속도와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원의 크기로 결정되며, 튜닝은 같은 작업을 수행하면서 최소의 자원과 시간을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취해지는 일련의 개선 작업이다.
  11. 트랜잭션(Transaction): 트랜잭션이란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가 중앙처리 시스템에 요구하는 일(작업)의 단위로써 한 번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나타내는 말이다. 트랜잭션의 본래 의미는' 처리,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요구 때문에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시스템 내에 머물러 있는 것을 말하며,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 처리(update)하는데 기본이 되는 하나의 입력 메시지를 뜻하기도 한다. 온라인시스템이나 시분할시스템에서 그 시스템의 단말기로 거래나 조회를 중앙처리시스템에 요구하는 것으로써 데이터파일 등의 마스터파일에 변경, 추가, 삭제 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
  12. 온라인 처리 프로세싱(OLTP :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OLTP는 네트워크상의 여러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거나 조회하는 등의 단위작업을 처리하는 것으로 주로 신용카드 조회업무나 자동 현금 지급 등 금융 정보화 관련 부문에서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온라인거래처리 불린다.
  13.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란 기간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데이터를 공통적인 형식으로 변환하여 일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데이터웨어하우스는 주요의사·결정·자원 등 정보계 시스템에 사용하며 저장 및 분석, 방법론까지 포함하여 말하는 경우도 있다.
  14. 인덱스(INDEX): 인덱스란 색인 또는 지표 등의 뜻을 갖는 일반단어로, 정보통신 분야에서 인덱스는 색인 또는 지표의 뜻으로 파일이나 문서 중의 특정 내용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키(key), 또는 참조를 위한 기호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표의 형식'으로 정의된다. 찾고자 하는 자료의 위치를 찾을 때 바로 이 색인(표)을 먼저 탐색하고, 참조기호에 의해 목적하는 데이터를 찾아낼 수가 있으므로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탐색하는 것보다 빨리 찾아낼 수가 있다. 책의 끝에 있는 색인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15. 데이터베이스 성능 관리자(DPA : Database Performance Administrator): DPA는 데이터베이스의 성능관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관리자를 의미한다. DPA는 일반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들이 수행하는 업무의 상위에서 전반적인 DBMS의 성능이 업무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데이터베이스의 전략적인 활용도를 기준으로 최적의 성능을 유지한다. 중요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성능관리를 위한 관리자(DPA)를 별도로 유지하는 것이 추세이다.
  16. 스키마(Schema):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DBMS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대량의 자료들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자료의 구조 및 내용 그리고 이러한 자료들에 대한 논리적, 물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들을 표현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자료의 독립성을 위하여 여러 계층의 스키마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표현하고 있다.
  17. 정규화(Normalization): 데이터 처리에 관한 특정의 절차를 설정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테이블 설계 시, 대상 엔티티(Entity)의 구체적인 속성을 고려하여 테이블을 분류하는 작업의 단계를 의미하며, 제1 정규화(1NF), 제2 정규화(2NF), 제3 정규화(3NF), 제3 정규화의 변형(BCNF), 제4 정규화(4NF), 제5 정규화(5NF)로 분류된다. 정규화는 깊어질수록 데이터 중복성이 줄어드는 반면 테이블 접근(Access)속도는 느려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정규화는 속도 및 데이터 중복성의 Trade-off를 고려하여 제3 정규화(3NF) 또는 BCNF 단계에서 결정된다.
  18. 병목현상(Bottleneck): 전체에서 다른 어떤 부분이 아무리 크다 해도 한 부분이 작게 되면 전체적으로는 작은 부분에 의하여 모든 행동이 결정되는 현상으로 최고의 부하 조건 동안에 혼선(traffic)을 줄이기 위하여 제한되는 시스템 용량에 관한 용어를 말한다. 성능이 뛰어난 컴퓨터 시스템에서 어떤 하나의 부분에 대한 성능이 떨어진다고 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전체 성능은 바로 이러한 부분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떨어지게 되며 컴퓨터 시스템의 작업 흐름 역시 하나의 장치에 집중되어 이루어진다면 바로 이러한 작업에서의 성능이 전체적인 작업의 성능을 결정하게 된다.
  19.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다중 처리 시스템에서 특정 처리기에 과중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시간 조정 또는 병렬 장비의 도입을 통하여 부하를 고루 분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들웨어 서버, 또는 웹 서버, 네트워크 장비 등의 병렬화를 통한 하드웨어 레벨의 로드 밸런싱이 있고, 데몬(Daemon)등 서비스 프로세스의 병렬 서비스를 통한 소프트웨어 레벨의 로드 밸런싱이 있다.
  20. 임계치(Threshold): 사전적 의미로는' 어떤 물리적인 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계의 값' 을 의미하며, 정보통신 부문에서는 장애 상황 및 성능상태의 경계선으로써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Warning' 과' Critical' 로 구분하여 설정하며, 기준치(Baseline)가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표준상태를 의미하는 것과는 달리, 정상적 상황과 비정상적 상황의 경계를 의미한다.
  21. 저장 프로시져(Stored Procedure): 클라이언트/서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고속화 수법의 하나이다. 클라이언트부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의뢰하는 명령(일반적으로 SQL 문) 중 빈번하게 사용하는 일련의 명령군으로 데이터베이스 내부에 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사용한다.
  22.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공유 메모리는 일반 운영체계 서비스가 사용하는 읽기/쓰기 방식에 의한 것보다 프로그램 프로세스들이 데이터를 더 빠르게 교환할 방법이다. 공유 메모리의 지정된 공간을 사용하면, 시스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데이터가 양쪽 프로세스에 의해 직접 액세스 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공유 프로그램 코드 또는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에 캐싱해 놓고 사용하게 되면 액세스 타임(Access Time)이 빨라지므로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이 개선된다.
  23. 세그먼트(Segment): 데이터베이스에서 세그먼트는 디스크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객체(Object)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테이블, 인덱스 등이 해당하며, 정의(Definition)만을 저장하는 View, Stored Procedure, 시퀀스 등과 구별된다.
  24. 정렬 영역(Sort Area): 정렬 영역은 대상을 정렬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으로 데이터베이스 관계 형태에 따라 개별 프로세스의 세션 메모리에 설정되거나,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 영역에 설정되기도 한다. 데이터베이스의 group by, order by, union 등과 같은 정렬처리 명령이 수행될 때 이 정렬 영역을 사용한다.
  25. 롤백 세그먼트(Rollback Segment): 특정 테이블의 값이 바뀌게 되면(insert, update, delete), 해당 테이블의 변경 내용을 롤백 세그먼트(Rollback Segment)라는 디스크 공간에 기록해 둔다. 그리고 나중에 해당 테이블을 읽기 위해 접근할 때, 다른 트랜잭션에 의해 변경된 상태라면 현재 테이블의 값과 롤백 세그먼트에 기록된 변경 내용을 조합해 이전 테이블의 버전을 생성해낸다.
  26. 배치(Batch)성: 컴퓨터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중단되거나 사용자와 대화하지 않고(NonInteractive) 다른 작업들과 함께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작업(Job)의 형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OLTP 성 작업(Job)의 상반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27. 트리거(Trigger):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참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정 프로시저를 자동으로 호출하는 행동이다. 트리거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등과 같은 데이터 변경에 관한 시도를 했을 때 효력을 나타낸다. 트리거는 지정된 어떤 변경이 시도되면, 일련의 행동들을 취하도록 시스템에 알릴 수 있다. 트리거는 부정확하고, 허가받지 않았으며, 일관성이 없는 데이터 변경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28. 파싱(Parsing):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문법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문법 (Syntax) 체크와 의미론(Semantics)체크를 수행하여 정확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29. 단편화(Fragmentation): 단편화는 서로 다른 객체 레벨에서 일어나며 데이터베이스 또는 저장된 파일시스템의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스토리지 상에 저장된 단편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세그먼트에 대해서는 재구성(Re-Organization)작업 등을 통해서 단편화 방지 (De-Fragmentation) 처리를 하여야 한다. 이 작업은 성능관리에 매우 중요한 조정(튜닝)방법 중 하나이다.
  30. 익스텐트(Extent): 디스크 등의 직접 접근 기억장치에서 특정 파일이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운영체제 또는 DBMS에 의해 확보된 연속적인 기억 공간의 단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상의 트랙을 기준으로 연속 공간이 할당되므로 접근(Access)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저장 기법(단위)이다.
  31. 경합(Contention): ①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태스크가 동시에 같은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려고 하는 것. 시스템 다운의 한 원인이다. ②키제한된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CPU, Memory, Disk I/O, Network I/O)을 사용하려는 프로그램의 집중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자원에 대한 경합이 발생하는 것은 정상적이지만, 집중현상이 지나치게 되면 병목현상(Bottleneck)으로 나타나게 된다.
  32. 랫치(Latch): DBMS의 주된 기능 중 하나인 동일 자원에 대해 동시 액세스를 관리하는 방법이다. 랫치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획득되고 해제된다. Queue를 통해 관리되지 않으므로 먼저 Request 한 프로세스가 먼저 랫치를 획득한다는 보장이 없으며, 대부분의 경우 배타적(Exclusive) 모드로만 획득된다. 랫치는 주로 공유메모리의 특정 메모리 구조체에 대한 액세스(library cache latch, cache buffers chains latch) 혹은 메모리 할당 시(shared pool latch)사용 되거나 DBMS의 중요한 코드 가동 시에 수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redo writing latch) 사용된다.
  33. Enqueue: 동일 자원에 대한 동시 액세스를 관리하는 방법의 하나다. Enqueue는 이름에서 보듯 Queue를 통해 관리된다. 대상 자원에 대한 Owner, Waiter, Converter Queue를 관리하면서 먼저 요청한 순서대로 Lock을 획득하도록 하는 구조이며, Exclusive 모드뿐 아니라 다양한 수준의 공유를 허용한다. 대표적인 것이 테이블 데이터를 갱신할 때 사용되는 TM, TX enqueue이다.
  34. 세션(Session): ①대화식 시분할 시스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온하고 나서 로그오프하기까지 사이를 나타낸다. ②데이터 통신에서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단말기가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35. 교착 상태(deadlock):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현상으로 프로세스들이 서로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영원히 대기 상태로 빠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교착상태가 발생하는 원인은 프로세스 사이에 할당된 자원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로직의 실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6. 객체(object): 데이터베이스에서 객체는 테이블, 인덱스, 프로시져, 트리거, 뷰, 시퀀스 등 데이터베이스 내부에서 생성되어 관리되는 모든 대상을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 객체는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관리하려는 방법들이 분리되어 또는 통합되어 처리된다.
  37. 커서(Cursor): 데이터베이스 내부에서 데이터 처리 또는 SQL 코드의 처리를 위하여 임시로 사용하는 메모리 저장 영역이며, 공유 메모리나 혹은 프로세스 개별 메모리 영역에 위치한다. 커서(Cursor)는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프로시저(Stored Procedure) 내부에서 사용되기도 하며, DBMS의 내부 처리 과정(Recursive Processing)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38. 옵티마이져(Optimizer): 일반적으로 옵티마이져는 DBMS의 핵심 (소프트웨어) 엔진으로 SQL 문장의 내부 실행 계획(Execution Plan)을 생성한다. SQL 코드 자체는 실행 절차(Execution Procedure)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처리해야 할 데이터 집합의 범위만을 지정하고 있다. 따라서, 실행 계획(Execution Plan)은 옵티마이져에 의하여 데이터의 분포도, 처리 범위, 처리비용(Cost) 등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형태로 작성된다. 일반적으로 옵티마이저는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한다.
  39.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ERD는 개체관계도라고 하며, 언어로 기술된 사용자(대상자) 요구분석 사항을 그림으로 그려내어 그 관계를 도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 내의 대상(Entity)을 식별하여 프로그램의 소프트웨어적 대상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식별되며, 객체(Object)를 추상적으로 기술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구조화한 것이다.
  40. 과부하(overhead)- 초과용량: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수반되는 부수적인 작업 또는 그것에 걸리는 시간 즉, 프로그램의 관리, 스케줄링, 기억 장소 할당, 하드웨어의 제어 등 운영 체제에 의해 수행되는 부수적인 작업이나 그것에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운영 체제가 자원을 이용하거나 동작하는 동안에는 프로그램이 실제로 실행되지 않으므로 낭비라고 간주한다. 따라서 오버헤드는 운영 체제를 평가하는 하나의 가늠이 되며, 작을수록 응답이 빨라진다.
  41. 병렬처리(Parallel Processing):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속도를 향상하는 수법의 하나. SQL 문을 나눠 여러 개의 CPU와 디스크를 사용해 동시 병렬로 처리를 실행한다. CPU나 디스크의 수가 늘어나면 반비례 적으로 처리 시간이 짧아진다.
  42. 대역폭(Bandwidth): ① 초과할 수 없는 최상의 capacity ② Overhead를 무시한 측정치
  43. (실)처리량(Throughput): ① 특정 시간 동안 실제 할 수 있는 작업의 양(what you really get) ② 대역폭 중 실제로 사용되는 capacity ③실제 처리량의 측정값은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영향받는다H/W, S/W, human, Random access) ④정확한 처리량 값의 측정은 불가능하며, 단지 근사치(Approximated value)만을 구할 수 있다. ⑤최대 처리량을 측정한다면 100% 사용률(utilization)에서 얼마나 많은 작업량이 가능한가를 평가하는 것이 된다.
  44. 응답시간(Response Time): 사용자가 응답을 받기까지 걸린 총 시간으로, wait time과 run queue 대기시간이 포함된다.
  45. 서비스 타임(Service Time): 실제 request를 처리하는 데만 사용된 시간(Queue 대기시간, Wait Time 제외)= actual processing time
  46. 사용률(Utilization): 측정 대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자원의 사용량(독자적이건, 종합적이건)으로, 백분율(%)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busy%(률)로 나타낸다.
  47. 네트워크(Network):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선,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S/W를 통칭한다.
  48.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 전사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가 장애 없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만일 네트워크에 부하가 걸려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대역폭(bandwidth)의 사용은 무리가 없는지 등 네트워크 운영 전반에 관한 내용을 감독 및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49. 전용회선: 네트워크 서버, 통신 장비, 단말기 등과 물리적으로 연결된 통신업체에서 제공하는 전용 네트워크 회선을 말한다.
  50. 전산시스템: 업무를 전산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용화된 S/W 및 이들의 운영에 사용되는 H/W, 네트워크 등을 통칭한다.
  51. 전산자원: 업무를 전산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H/W(서버, 네트워크 장비), S/W(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상용 솔루션)및 부대시설을 통칭한다.
  52. 시스템: 전산기와 전산기를 운영/관리하는데 사용되는 S/W를 의미한다.
  53. 장애: 전산 자원이 비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54. 침입방지 시스템(IPS : Intrusion Prevention System): 공격 시그니처를 찾아내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서 수상한 활동이 이뤄지는지를 감시하며, 자동으로 모종의 조처를 함으로써 그것을 중단시키는 보안 솔루션이다. 수동적인 방어개념의 방화벽이나 IDS와 달리 침입유도시스템이 지닌 지능적인 기능과 적극적으로 자동 대처하는 능동적인 기능이 합쳐진 개념이다.
  55. 침입탐지 시스템(IDS : Intrusion Detection System): 방화벽과 함께 활용되는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으로 침입탐지시스템이 방화벽에 이은 차세대 보안 솔루션으로 주목받는 주된 이유는 방화벽이 해킹됐을 경우 이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네트워크 관리자 부재 시에 시스템 자체적으로도 해킹 등에 대응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침입탐지시스템이 이런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기 때문이다.
  56. 방화벽(Firewall): 방화벽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통신 체제로부터 기업의 네트워크를 보호해주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체제를 말한다.
  57. SLB(Server Load Balancing): 특정 서버가 과부하가 되지 않도록, 즉 네트워크 서버 간 로드 분산을 위하여 서버 간의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하는 것이다.
  58. FLB(or FWLB : Firewall Load Balancing): Layer 3 Device로써 작동하며 방화벽으로의 각 연결(connection)은 IP Sublet 별로 분리된다. FLB는 라우팅 기능으로 수행하며 FLB 결정에 Content 룰을 적용하지는 않는다.
  59.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인시던트가 복구된 시점부터 다음 인시던트가 보고된 시점 사이의 평균 시간, 즉 Uptime을 말한다.
  60. MTTR(Mean Time To Repair): 문제가 발생한 시점부터 복구한 시점까지의 평균 시간, 즉 Downtime을 말한다.
  61. ifInErrors: 전송되어 들어온(inbound) 에러 패킷의 개수를 말한다.
  62. ifInUcastPkts: 전송되어 들어온(inbound)유티캐스트 패킷 개수를 말한다.
  63. ifInNUcastPkts: 전송되어 들어온(inbound)비-유티캐스트 패킷 개수를 말한다.
  64. ifInOctets: 전송되어 들어온(inbound) 트래픽의 Octets 값을 말한다.
  65. ifOutOctets: 전송되어 나간(outbound) 트래픽의 Octets 값을 말한다.
  66. IfSpeed: 인터페이스(Interface)의 Speed 값을 말한다.
  67. 커널(Kernel):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인 자원(메모리, 프로세서 등)을 관리하며, 시스템이 원활히 돌아갈 수 있도록 제어해 준다.
  68. 트래픽(Traffic): 데이터의 흐름이 항상 일정하게 흐르는 것이 아니라 어느 시점에서 부하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통신장치나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를 말하기도 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움직이는 데이터의 양이나 어떤 종류의 트랜잭션 및 메시지 등의 양을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
  69. ping: 현재 다른 시스템이 동작 중인지를 알아볼 때 쓰인다. ping의 기능은 IP 주소를 가진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는지와 내 시스템과 상대 시스템 간의 지연상태와 품질상태를 알 수 있다.
  70. 네임서버(Name Server): 네임 서버는 호스트의 어드레스를 영역 이름 형태로 주면 이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구해서 넘겨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즉, 인터넷에서의 도메인 네임 서버와 같은 의미로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71. IP 주소: IP 주소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넷을 접속하는데 필요한 것으로써,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기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32bit 숫자로 표현되는 고유식별번호를 말한다.
  72. 패킷(Packet): 데이터 전송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묶음을 말한다. 각각의 패킷은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데이터 수신처, 주소 또는 제어 부호 등의 제어 정보까지 담고 있다.
  73. 원거리 통신망(WAN : Wide Area Networks): 광역통신망이라고도 불리는 원거리 통신망(WAN)은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중거리 통신망(MAN)을 다시 하나로 묶는 거대한 네트워크로써, 하나의 도시, 나라, 대륙과 같이 매우 넓은 지역에 설치된 컴퓨터 간에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컴퓨터 통신망이다.
  74.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공공 또는 사적인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송 기준이다. 데이터들은 각각 같은 크기로 쪼개져 프레임 안에 저장된 뒤 전송된다.
  75. 채널 서비스 장치(CSU : Channel Service Unit): 고속 디지털 전용 회선의 종단 장치이다. 장거리 통신 사업자들이 DS-0(64kbps), DS-1(1.544Mbps), DS-2 등6.312Mbps)등 고속 디지털 전용 회선의 물리적 특성을 관리하기 위해 원하는 고객의 구내에 설치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서비스 장치(DSU)나 다중화기(MUX)와 전용 회선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및 버퍼로써 동작한다.
  76. 디지털 서비스 장치(DSU : Digital Service Unit): 디지털 회선용의 회선 종단 장치이다. 데이터 서비스 장치, 디지털 회선 종단 장치라고도 한다. 주 컴퓨터나 각종 데이터 단말장치(DTE)를 고속 디지털 전송로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데 필요하다.
  77.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다수의 국으로 동시에 정보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동보메시지는 다중점 회선 상의 모든 국에 자발적으로 송신하는 메시지이다.
  78. 멀티캐스트(multicast): 구내 정보통신망(LAN)이나 인터넷에 접속된 일부 사용자 내에서 한 사람이 몇 사람에게 정보를 송신하고 그것을 수신한 몇 사람이 같은 내용을 버킷 릴레이(bucket relay)식으로 복수의 사람에게 송신함으로써 정보를 전파하는 특정 여러 사람에 대한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79. 영구가상회선(PVC : Permanent Virtual Circuit): 패킷 교환망이나 ATM 망에서 특정 단말기간을 고정적으로 접속해서 가상 회선을 설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PVC 형태로 접속된 기기 간에는 언제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이용자는 전용 회선과 같은 감각으로 이용할 수 있다.
  80. 가상 회선(VC : Virtual Circuit): 패킷 교환망에서 통신하려는 두 접속점 사이의 전송 경로가 논리적으로 고정되어 통신하는 동안은 물리적으로 고정된 전송 경로 상에서 통신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연결 방식이다.
  81. 역 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BECN : 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프레임 중계 네트워크에서 통신 폭주 경로에 도달한 프레임의 반대 방향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에 사용되는 통지를 말한다. 역방향 명시적 폭주 통지(BECN)를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필요하면 더욱 높은 수준의 프로토콜에 의한 흐름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82. 순방향 명시적 혼잡 알림(FECN : For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프레임 중계 네트워크에서 수신 측에게 발신 장치에서 수신 장치까지 연결 경로에 통신 폭주가 발생했음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통지를 말한다.
  83.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NMP :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TCP/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이다. 원래 SNMP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 일시적으로 출현한 기술로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보다 기술적인 수준은 훨씬 낮은 프로토콜이다. 하지만 SNMP는 TCP/IP에 기반을 두고 있는 데다 단순성과 오버헤드가 적다는 장점으로 인해 오히려 관리 프로토콜의 대세를 이루고 있다.
  84. 비동기 전송 모드(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디지털 데이터를 바이트의 셀 또는 패킷으로 나누어, 디지털 신호 기술을 사용한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용접속(dedicated-connection)스위칭 기술이다.
  85. 트렁크(Trunk): 스위치 프레임에 수용되는 입출 회선에 설비되어 있는 장치를 말한다. 통화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그 감시 제어를 하는 것으로, 통화에 필요한 전류 공급, 신호 송출, 요금 산출 기구 등을 갖는다.
  86. 오류 제어(error control): 전송 도중에 발생한 부호 오류를 검출하고, 정확한 정보를 재현하는 기술을 말한다. 오류 제어 기술로는 오류 정정 부호에 의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FEC)과 오류 검출 부호를 사용하여 재송신하는 자동 재송 요구(AQR) 등이 있다.
  87. 가상 패스 링크(VPL : Virtual Path Link): 비동기 전송 방식(ATM)에서 가상 패스 식별자(VPI) 값이 할당되는 점과 이 값이 해석되거나 제거되는 점 사이의 가상 채널 링크의 군(집합), 즉 하나의 공통 VPI에 의해 식별되는 가상 채널 링크의 군을 말한다. 가상 패스는 하나의 공통 식별자 값에 의해 조합된 복수의 가상 채널에 속하는 ATM 셀들의 단방향 운반을 서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이다.
  88. 가상 채널 식별자(VCI : Virtual Channel Identifier): ATM 셀 서식에서 정의된 가상 채널(VC)을 식별하기 위한 16bit의 식별자이다.
  89. 관리 정보 베이스(MIB : Management Information Base): 망 기기를 감시,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계화된 관리 정보 항목을 말한다. 망에서 관리되는 장치가 정적 또는 동적 정보로서 유지되며, 관리 장치가 그 내용을 얻고 변경한다.
  90. 관리 정보 베이스 II (MIB-II : Management Information Base II): TCP/IP 기반의 인터넷상에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사용하기 위한 MIB의 2번째 버전을 정의한다. 모든 SNMP 에이전트와 도구들은 MIB-II에 따르는 MIBs를 포함하며 모든 장치는 MIB-II 표준을 따르는 최소한의 값들을 보여준다.
  91. 비차폐 연선(UTP : Unshielded Twisted Pair wire): 차폐 연선(STP)과는 달리 외부의 전계, 자계 또는 다른 전송선에서 유도되는 전계, 자계로부터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도전성 물질이 많은 피복을 둘러싸지 않은 연선을 말한다.
  92. 라우터(Router): 근거리통신망(LAN)을 연결해주는 장치로써 정보에 담긴 수신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93. RMON(Remote network MONitoring): 원격지 통신망의 통신 정보를 수집하여 해석하기 위한 기능의 한 종류이다.
  94. 이더넷(Ethernet): 가장 대표적인 버스 구조 방식의 근거리통신망(LAN)이다.
  95. 반송파감지 다중접근/충돌검사(CSMA/CD :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버스 혹은 트리 모양에 접속한 LAN(Local Area Network) 방식의 일종으로 미국 제록스사의 이더넷이 처음 사용하고, 그 후 미국 IEEE가 LAN의 표준 방식의 하나로 채용했다. 하나의 전송로를 다수의 사용자(단말)가 사용하기 위한 방식이다. IEEE 802 위원회가 표준화한 LAN 액세스 방식에는 CSMA/ CD와 토큰 버스, 토큰링 세 가지가 있다.
  96. 주기적 덧붙임 검사(CRC : Cyclic Redundancy Check):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순환 2진 부호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97. 토큰링(Token Ting): 토큰링 기법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 기법은 링 형태에 사용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나 지금은 모든 네트워크 통신망에 응용되고 있다. 토큰링은 완전한 분산 제어 방식으로 토큰이란 전기적인 표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사용을 결정한다. 네트워크상에 오직 하나의 토큰만이 존재하며, 이 토큰을 가진 노드만이 네트워크 사용 권한을 가지고, 독점적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98. 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FDDI :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미국표준협회(ANSI)의 X3T 9.5 위원회가 1982년부터 표준화를 추진한 광섬유를 전송 매체로 하는 고리형 망에 컴퓨터나 단말 장치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한 고속 구내 정보 통신망 (LAN)의 표준 규격이다.
  99.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TCP/IP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과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의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취급하는 무연결 전송(connectionless transmission)용 프로토콜(RFC. 792)이다. OSI 기본 참조 모델의 망 계층(Network Layer)에 해당한다.
  100. MAC 주소(MAC address): 일종의 고유번호로써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를 말한다. 보통 랜카드의 주소라고 보면 되며 이 MAC 주소는 세계에서 유일한 번호이다.
출처: 국무조정실 정보통신부 정보시스템 성능관리 지침 발췌

Written By 밤의카사노바


반응형

'& Develop > DB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BOK 2.0 정리  (0) 2017.06.02
테이블 Full Scan에 대한 이야기  (0) 2017.03.08

댓글